ServletConfig는 각 Servlet 객체에 대해 생성된다.(다음 링크의 그림 참조)
https://vibeee.tistory.com/140
ServletContext 클래스
톰캣 컨테이너 실행 시 각 컨텍스트(웹 애플리케이션)마다 한 개의 ServletContext 객체를 생성하고, 톰캣 컨테이너가 종료하면 ServletContext 객체 역시 소멸됨. ServletContext 객체는 웹 애플리케이션이
vibeee.tistory.com
그리고 서블릿 API 계층 구조를 보면 ServletConfig 인터페이스를 GenericServlet 클래스가 실제로 구현하고 있다.(다음 링크의 그림 참조)
https://vibeee.tistory.com/107
서블릿 API 계층 구조와 기능
서블릿은 자바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클래스들 간의 계층 구조를 가짐. 서블릿 API는 Servlet과 ServletConfig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서 제공, GenericServlet이 Servlet, ServletConfig 인터페이스의 추상 메서드를
vibeee.tistory.com
ServletConfig에서 제공하는 여러 가지 메서드를 이용해 서블릿에 관련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
대표적인 기능이 ServletContext 객체를 가져오는 기능.
ServletConfig는 javax.servlet 패키지에 인터페이스로 선언되어 있으며, 서블릿에 대한 여러가지 기능을 제공.
각 서블릿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며 공유는 불가능함.
ServletConfig는 서블릿과 동일하게 생성되고, 서블릿 소멸 시 같이 소멸됨.
ServlerConfig가 제공하는 기능은 다음과 같음
- ServletContext 객체를 얻는 기능
- 서블릿에 대한 초기화 작업 기능
'웹 개발 기초 > 자바 웹을 다루는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load-on-startup 기능 사용하기 (0) | 2023.02.20 |
---|---|
@WebServlet 애너테이션과 web.xml을 이용한 서블릿 설정 (0) | 2023.02.20 |
ServletContext의 파일 입출력 기능 (0) | 2023.02.20 |
ServletContext의 매개변수 설정 기능 (0) | 2023.02.20 |
ServletContext 바인딩 기능 (0) | 2023.02.20 |